정통침 치료연구

정통침 치료 연구 (299 주차) -[소변불통] 음곡 음릉천

둘이서여행 2017. 6. 12. 15:49

안녕하세요.

 

이번 주에도 계속해서

<치증총요(治症總要)>가 이어집니다.

---------------------------------------------------------

<원문>

第一百二十 小便不通 陰谷 陰陵泉

(제일백이십 소변불통 음곡 음릉천)

---------------------------------------------------------

<해석>

백스무 번 째, 소변불통에는 음곡 음릉천에 자침한다.

---------------------------------------------------------

<해설>

이번 회에는 소변불통, 즉 소변이 나오지 않는 병증으로

‘뇨폐(尿閉)’라고도 합니다.


뇨폐의 원인은 대부분 실열(實熱)이며,

상초의 폐열과 하초의 방광열이 대표적입니다.

주로 감기 또는 극심한 스트레스가

폐열 방광열의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


원문에서 취혈은 음곡[KI-10] 음릉천[SP-9]이라 했습니다.


이들 경혈의 관련 효능을 보면,

-> 음곡은 거습하초 보신음하므로

음릉천 곡천[LIV-8]과 함께 소변불리에 취혈합니다.


-> 음릉천은 이하초(利下焦) 이뇨(利尿)하므로

소변불리 유뇨 요실금 등에 취혈합니다.


취혈을 정리하면,

음곡 음릉천은 소변불통의 요혈로서

강한 사법을 사용하면 즉시 소변이 나오게 됩니다.

물론 전침을 사용해도 좋습니다.
여기에 곡천을 더한다면 보다 확실하겠지요.


이 취혈은 대부분의 소변불통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간혹 이 취혈로 시원한 결과를 얻지 못한 경우

합곡[LI-4]과 태충[LIV-3]을 평보평사로,

담견정[GB-21] 삼음교[SP-6]를 사법으로 더하면 좋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편안한 하루 되시기를...

<가주녹십자 한의원> 김두식이었습니다.^^

------------------------------------------------------------

** 이 이메일을 보내드리는 목적은, 어렵다고 포기하기 쉬운

침구 치료의 근본인 '체침'(정통침)을 쉽게 이해하고,

임상 활용에 도움을 드리고자 시작한 것입니다.

** 만일 이 이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받고 싶지 않습니다.'라고

쓰셔서 답신을 보내주십시오. 다음 회부터는 보내드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이 내용을 다른 분에게 추천해 주시려면 그 분의 이메일 주소를

보내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