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주에도 계속해서
<치증총요(治症總要)>가 이어집니다.
---------------------------------------------------------
<원문>
第一百十九 大便不通 章門 照海 支溝 太白
(제일백십구 대별불통 장문 조해 지구 태백)
---------------------------------------------------------
<해석>
백열아홉 번 째, 대변불통에는 장문 조해 지구 태백에 자침한다.
---------------------------------------------------------
<해설>
이번 회에는 대변불통, 즉 대변이 나오지 않는 병증입니다.
대변불통은 증상과 원인이 매우 다양하므로
한열허실에 따른 정확한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먼저, 실증과 허증으로 증상을 구분해 보면,
실증으로는 대장실열이 대표적이며,
허증으로는 음허, 중초기허, 폐기허 변비 등이 있습니다.
한열로 구분해 보면,
한증으로는 대장허한, 한습이 많고,
열증으로는 대장실열, 음허열, 습열 변비가 대표적입니다.
흔히 습(濕)이 많은데 왜 변비가 있는지
반문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는 습과 음(陰)에 대한
이해 부족 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임상에서 보면,
노인성 변비는 음허(한) 혹은 허열성 변비,
몸이 비대하면서 추위를 많이 타는 분들은
실증 한습 변비,
몸이 비대하면서 체내 열이 많은 분들은
습열 변비 등등입니다.
그런데 원문에서 말하는 변비는
아마도 노인성 음허변비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원문에서 변비 취혈을 보면,
장문[LIV-13] 조해[KI-6] 지구[SJ-6] 태백[SP-3]인데요.
이들 각 경혈의 관련 효능을 보면,
-> 장문은 화식적(化食積) 보비위(補脾胃)하므로
간비부조(肝脾不調)로 인한 소화불량에 취혈합니다.
-> 조해는 음교맥의 교회혈로서 자음청열(滋陰淸熱)하므로
음허열 변비에 취혈합니다.
-> 지구는 대장경락상의 적체(積滯) 제거를 하므로
조해와 함께 변비에 취혈합니다.
-> 태백은 조비화위(調脾和胃)하므로 변비에 취혈합니다.
태백은 폐기를 보하는 효능이 뛰어납니다.
정리하면,
이 취혈은 음허 변비 요혈인 조해 지구와 함께,
폐기를 높이는 태백과
소화기능을 높이는 장문을 더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이 취혈의 포인트는 조해 지구이며,
장문과 태백은 보조혈이지요.
이 취혈은 허한증 노인성 변비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대장실열이나 한습 등으로 인한 변비에는
효과가 없을 수도 있으니 진단에 유의해야 합니다.
다른 병증도 마찬가지지만,
변비도 한열허실 진단이 매우 중요하며,
진단이 정확하지 않으면 치료 효과가 없다는 점을
결코 잊지 말아야 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편안한 하루 되시기를...
<가주녹십자 한의원> 김두식이었습니다.^^
'정통침 치료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통침 치료 연구 (300 주차) - [육맥구무] 합곡 복류 중극 (0) | 2017.06.18 |
---|---|
정통침 치료 연구 (299 주차) -[소변불통] 음곡 음릉천 (0) | 2017.06.12 |
정통침 치료 연구 (297 주차) - [상한한다] 내정 합곡(사) 복류(보) 백로 (0) | 2017.05.25 |
정통침 치료 연구 (296 주차) - [상한무한] 내정(사) 합곡(보) 복류(사) 백로 (0) | 2017.05.22 |
정통침 치료 연구 (295 주차) - [상한발경 불성인식] 곡지 합곡 인중 복류 (0) | 2017.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