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침 치료연구

정통침 치료 연구 (23)

둘이서여행 2012. 5. 25. 05:00

안녕하세요.

<가주녹십자 한방클리닉>에 김두식입니다.

이번 주도 지난 주에 이어 <잡병혈법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원문>

상한(傷寒) 첫째날에는 풍부에 자침하고

육경병증(六經病證)으로 구분하여

순서대로 혈자리를 잡아 자침해야 한다.

------------------------------------------------------------

위의 원문 일부 내용 가운데

'육경병증으로 구분하여 순서대로 혈자리를 잡아 자침해야 한다.'는

내용을 갖고 계속 설명드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태양, 양명, 소양병증에 대해 혈위 선택과

그 이유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이번 회에서는 그 다음으로 태음병증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해설>

태음병증부터 소음 궐음병증은 사기가 오장육부로

침투하기 시작하여 병이 깊은 상황으로서,

비기가 허약하고 한습이 침범하여 비위가 허한한 상태를 말합니다.

구체적인 증상을 보면,

사지가 차고, 복창만통이 있으며, 구토와 설사를 하고,

식욕이 없으며, 소화불량, 따뜻한 물을 좋아하고 찬물을 싫어하고,

다만 목이 마르지는 않는 것이 정설입니다.

설담태백, 맥침세, 이중환증이라고도 합니다.

머.. 이거 쉽게 말하자면 추운데서 덜덜 떨면서

찬음식 많이 먹어 감기 걸리고 위장까지 탈난 상황이지요.

침 치료를 보면,

중초가 허냉하니 정혈(井穴)에 자침하거나,

족양명경과 임맥에 자침하되 모혈, 합혈, 배수혈을 사용합니다.

왜왜.... 태음병증에는 선택하는 특정혈이 많을까요?

이는 정혈과 모혈, 합혈, 배수혈의 특징을 알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이번 회에서는 정혈에 대해서만 설명하겠습니다.

(모혈, 합혈, 배수혈의 선택에 대해서는 다음 회에 설명합니다.... ^^ )

정혈은 손끝과 발끝에 위치해 있으며, 12경락의 시작 또는 끝점입니다.

이는 해당 경락의 기가 고밀도로 집중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어떠한 혈위보다 경락을 가장 강하게 자극합니다.

(무지하게 아프잖아요.. ^^)

여기서 잠깐.....

전기에 감전되었을 때 우리 말 표현에 "머리가 쭈삣한다"고 합니다.

바로 그 느낌이지요.

정혈에 자침시 그 강한 자극은 전기에 감전된 듯 머리가 쭈삣하면서

순간적으로 해당 경락의 기혈을 확.... 소통시켜

관련 장부를 정상으로 되돌려 놓습니다.

(그래서 꽉 체했을 때에도 정혈을 사용하는 것이지요.)

양의학적으로 말하면 해당 장부의 자율신경을 정상으로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정혈은 명치 아래가 그득하고(心下滿), 장병(腸病), 장(腸)관련 정신병,

구급병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고 배웠지 않았습니까?

이 모든 것이 순간적이고 강력한 경락의 자극으로 인해

막힌 기를 소통시킴으로써 고쳐지는 병들이지요.

자.... 그럼 이제 태음병증과 정혈과의 관계를 연결해 봅니다.

으슬으슬 떨리면서 뱃속이 차고 설사를 계속하는 태음병증 환자에게

족태음, 족양명, 수태음, 수양명 정혈(은백, 여태, 소상, 상양) 등에 자침하면

찬 기운으로 인해 얼어있는 비위에 뜨거운 기운을 확 불어넣어

정상 소통시킨다고 봐야 하겠지요.

다만 자극이 강한 만큼 체격이 좋고 튼실한,

아직 기혈이 충만한 사람에게 시술해야겠지요.

그렇다면 태음병증의 초기 환자에게 알맞겠네요.

이정도에서 이번 회를 마쳐야겠군요.

--------------------------------------------------------------------

모든 미주한의원이 대박나는 그날까지.....

편안한 시간 되시기를......^^

--------------------------------------------------------------------

** 만일 이 이메일을 받기 원하지 않으신 분은 답신 이메일을 보내주시면

다음 회부터는 보내드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혹 이 이메일로 인해 심려를 끼쳐드렸다면 죄송함을 전해드립니다.

** 이 메일을 보내드리는 목적은

침구 역사의 근본인 '체침'(정통침)을 쉽게 이해하고,

임상 활용에 도움을 드리고자 시작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