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가주 녹십자 한방클리닉> 김두식입니다.
계속해서 잡병혈법가(雜病穴法歌) 내용 중
종기에 관한 설명입니다.^^
----------------------------------------------------------------
<원문 해석>
양경(陽經)인 등을 따라 (옹저가) 나오는 자는
태양경의 지음, 통곡, 속골 곤륜 위중의
다섯 혈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
오늘은 종기(옹저) 가운데
등창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등에 나는 종기를 흔히 '등창'이라고 하지요.
그런데 위의 원문에서 보면,
지음(방67) 통곡(방66)
속골(방65) 곤륜(방60)
위중(방40) 가운데 선택하라고 했는데...
이거.... 잘 보면
딱 ^^ 생각나는 것이 있지요?
바로 족태양경 오수혈(五輸穴)입니다.
그러니까 등창의 상황에 따라
정형수경합혈 가운데
골라서 사용하라는 말이네요.
그렇다면 어떤 기준으로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까요?
아주 작고 가벼운 것,
또는 이제 시작된 종기는
정혈(지음)에 점자출혈하고
하루밤 자고나면 없어집니다.
그리고 그 크기가 클수록,
깊이가 깊을수록,
또는 오래된 것일수록
형 -> 수 -> 경 -> 합혈 순서로
취혈하면 됩니다.
만일 이런저런 판단이 잘 안설 때에는
그냥 정형수경합 모든 혈을
사법으로 취하면 되겠지요.^^
그러나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만,
일단 고름이 생기고 짓무른 경우에는
별 효과가 없다는 것을 잊지 맙시다.
오늘은 여기까지.... ^^
------------------------------------------------------------
모든 미주한의원이 대박나는 그날까지.....
편안한 시간 되시기를......^^
------------------------------------------------------------
"정통침 치료 연구"의 모든 내용을 보시려면
Daum 검색창에서 "정통침 치료 연구"를 검색해 보시거나,
아래 주소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http://blog.daum.net/57korea?t__nil_loginbox=blog_btn
------------------------------------------------------------
** 만일 이 이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받고싶지 않습니다.'라고
쓰셔서 답신을 보내주십시오. 다음 회부터는 보내드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이 내용을 다른분에게 추천해 주시려면 그 분의 이메일 주소를
보내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 이 이메일을 보내드리는 목적은
침구 치료의 근본인 '체침'(정통침)을 쉽게 이해하고,
임상 활용에 도움을 드리고자 시작한 것입니다.
-----------------------------------------------------------------------
'정통침 치료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통침 치료 연구 (61) - 학질 (0) | 2014.03.21 |
---|---|
정통침 치료 연구 (131) - 종기 (3) (0) | 2014.03.17 |
정통침 치료 연구 (129) - 종기 (1) (0) | 2014.03.02 |
정통침 치료 연구 (128) - 소아 경풍 (0) | 2014.02.22 |
정통침 치료 연구 (127) - 포의불하(胞衣不下) (0) | 201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