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침 치료연구

정통침 치료 연구 (327 주차) - [아관탈구=턱빠짐] 협거 백회 승장 합곡

둘이서여행 2017. 12. 25. 17:05
안녕하세요.
행복하고 편안한 성탄절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오늘도 계속해서 <치증총요(治症總要)>가 이어집니다.

---------------------------------------------------------

<원문>

第一百四十八 牙關脫臼 頰車 百會 承漿 合谷

제일백사십팔 아관탈구 협차 백회 승장 합곡

---------------------------------------------------------

<해석>

백마흔 여덟 번째, 아관탈구에는 협차 백회 승장 합곡에 자침한다.

---------------------------------------------------------

<해설>

‘아관탈구’는 아래턱뼈가 턱관절에서 이탈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아관탈구 초기에는 아래턱과 옆머리뼈를 연결하고 지지하는

근건의 손상, 경직, 위약 등으로 습관적으로 아래 턱 뼈가

관절의 움직임 범위를 벋어나 빠지게 됩니다.


증상이 악화되면 턱관절의 디스크 손상으로 인해

관절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입을 여닫을 때 뼈의 마찰로

극심한 통증이 오기도 하며,


아래턱뼈 관절 부위 손상 등으로 결절종(ganglion)이 생겨

관절을 압박하면서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렇게 증상이 악화된 경우에는 침 치료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으니 진단이 유의해야 합니다.


원문에서 말하는 ‘아관탈구’는 초기 증상을 말하며,

진단은 근건위약(筋腱萎弱)이고 치료는 강근건하면 되겠습니다.


원문에서는 아관탈구에에

협차[=협거 ST-6] 백회[DU-20]

승장[REN-24] 합곡[LI-4]을 취혈하라 합니다.


이 취혈의 경혈들은 모두 턱관절 근건의

활혈통락을 위한 근위혈(近位穴) 혹은 원위혈(遠位穴)입니다.


이들 경혈의 관련 효능을 보면,

-> 협차는 이아관(利牙關) 통락(通絡)하므로

구안와사(口眼喎斜) 협종(頰腫) 치통 아관긴폐(牙關緊閉) 등에 취혈합니다.


-> 백회는 승거양기(昇擧陽氣)하므로 두부의 혈액순환을 촉진합니다.


-> 승장은 면종(面腫) 치종(齒腫) 유연(流涎) 구안와사 등에 취혈합니다.


-> 합곡은 치통 면종 구안와사 아관긴폐 등에 취혈합니다.


취혈을 정리하면,

협차 승장 합곡은 모두 턱관절 근건을 활혈통락하여

기능을 회복시켜주며, 백회는 보조혈로서 치료 효능을 촉진시킵니다.


이 취혈은 초기 아관탈구에는 한두 번의 치료에도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으나 디스크 손상이나 결절종이

나타난 경우에는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만일 병증이 초기를 넘어선 경우에는

위의 취혈보다 직접 아시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즉 관절 부위 아래턱과 옆머리뼈 근건에 2-3개의 침을

깊이 자입한 후 전침 사법으로 20분 정도 자극하고,


결정종 부위에는 간접구를 매회 5장 정도 시술하면

치료 효과가 더욱 빠르게 나타납니만

보다 장기적인 치료가 요구됩니다.

이 때 보조혈로서 합곡과 백회도 함께 취혈합니다.


그러나 급성인 경우,

즉 간혹 단단한 것을 어금니로 깨물거나

입을 지나치게 크게 벌리면서 아래턱뼈가

관절에서 이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에는 아래턱 관절 부위를 앞에서 뒤쪽으로 가볍게

충격을 주면서 입을 닫아주면 본래의 위치로 회복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캘리포니아 그린크로스 클리닉> 김두식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