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침 치료연구

정통침 치료 연구 (232) - [각약무력] 공손 삼리 절골 신맥 / 곤륜 양보

둘이서여행 2016. 2. 21. 13:05


안녕하세요.

 

<가주녹십자 한방클리닉> 김두식입니다.

 

계속해서 <치증총요(治症總要)> 설명입니다.^^

---------------------------------------------------------

<원문>

 

第五十二 腳弱無力 公孫 三里 絕骨 申脈

(제오십이 각약무력 공손 삼리 절골 신맥)

問曰 此症從何而得

(문왈 차증종하이득)

答曰 皆因濕氣流於經絡 血氣相搏

(답왈 개인습기류어경락 혈기상박)

或因行房 過損精力

(혹인행방 과손정력)

或因行路 有損筋骨 致成此疾

(혹인행로 유손근골 치성차질)

復針後穴 崑崙 陽輔

(부침후혈 곤륜 양보)

---------------------------------------------------------

 

<해석>

쉰 두 번째 : 각약무력에는 공손 삼리 절골 신맥(에 자침한다.)

 

문 : 이 병증은 어떻게 해서 발병하는가?

 

답 : 습기가 경락에 흘러 기혈이 서로 부딛히거나,

혹은 성교로 인해 정력을 과다하게 손상되었거나,

혹은 (많이) 걸어 근골이 손상되면 이 병증이 생긴다.

다음 경혈에 자침한다. 곤륜 양보

---------------------------------------------------------

 

<해설>

 

지난 회에 이어 계속 다리 병증입니다.

원문에서 말하는 '각약무력'이란

무릎에 힘이 없는 병증으로

당연히 걷는 것이 매우 힘들겠지요.

 

원문에서 말하는 그 원인을 보면,

습(濕)이 경락을 침범하여

기혈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때와

 

지나친 성교로 정력을 과다하게 사용했을 때,

이것은 남성만의 병증이네요.

그리고 아마 허리 힘도 없을 겁니다.^^

 

그리고 너무 많이 걸어서

근골이 손상되었을 때라 했네요.

 

간단히 정리하면,

첫째, 습(濕)

둘째, 정기(精氣) 부족

셋째, 무리한 사용입니다.

 

치료는 물론, 기본으로 통경활락(通經活絡)하면서

첫째, 거습(去濕)

둘째, 보정(補精)

셋째, 활혈거어(活血去瘀)가 되겠네요. ^^

 

그런데 원문에서는

습과 정기부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여튼... 처음 취혈한 것이

공손[SP-4] 삼리[ST-36]

절골[현종 GB-39] 신맥[UB-62] 입니다.

각 경혈의 관련 효능을 보면...

 

공손은 낙혈(絡穴)이며 충맥의 팔맥교회혈로서

보비위(補脾胃) 이충맥(利沖脈) 조습(燥濕)하므로

무릎통증에 취혈합니다.

 

족삼리는 합토혈(合土穴)로서

건비위(健脾胃) 조습 보기혈음 활락지통하므로

슬경산통(膝脛痠痛) 각기()에 취혈하지요.

 

현종은 수회혈(髓會穴)로서

보정(補精) 자양골수(滋養骨髓) 강근골 통락지통하므로

반신불수 하지위비( )

족경연통(足脛連痛) 각기에 취혈합니다.

 

신맥은 양교맥의 팔맥교회혈로서

서근맥(舒筋脈) 통조양교(通調陽蹺) 활락지통하므로

요퇴산통(腰腿酸痛) 하지위비에 취혈하지요.

 

이 취혈을 정리해 보면,

공손과 족삼리로 보기혈 조습하고

현종으로 보정하며

신맥으로 다리를 강근건하게 합니다.

 

그리고 이들 경혈 모두 무릎 아래 있으니

아시혈로서 다리에 힘을 보태겠네요.

 

이렇게 본다면 습과 정기허로 인한

각약무력에 효과적인 취혈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원문에서 보면,

이 취혈로 치료가 안될 수 있다 하네요.

 

그 이유는 바로 바로...

현종의 '보정' 효능에 있습니다.

 

현종의 주 효능은 '뇌수를 자양[보정]'하여

뇌세포 활성화, 양혈(養血) 등에 도움을 주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치매 중풍 등의 병증에

현종을 취혈하지요.

 

지나친 정력 소모로 인한

각약무력 치료에서 '보정'은

뇌수가 아니라 신정(腎精)을 보해야 합니다.

 

물론 이 두가지가 전혀 관계 없다고

딱 잘라 말할 수는 없겠지만

'보정'의 포인트가 다르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위의 취혈에서 현종을 제외하면

습으로 인한 각약무력에 좋겠네요.

 

어쨌든... 그래서 원문에서 보면, 다시

곤륜[UB-60] 양보[GB-38]를 취혈하라네요.

 

곤륜은 강근골 서근건요(舒筋健腰)하므로

요퇴통(腰腿痛), 각근종통(脚跟腫痛)에 사용하는데

특히 허증에 취혈합니다.

 

즉 곤륜은 신정(腎精)을 보하고 강근골하여

지나친 정력 소모로 힘없는 허리와 다리에

힘을 더해주는 효능이 있지요. 

 

양보는 담경락으로서 다리 근건에 힘을 줍니다.

위의 신맥과 유사한 기능이라 보면 되겠네요.

 

그래서 정기허로 인한 각약무력에는

현종보다 곤륜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입니다.

 

이번 회의 결론,

'보정'이라 하여 모두 같지 않다는 점을

정확하게 이해하자.^^

 

오늘은 여기까지.... ^^

 

모든 한의원이 대박나는 그날까지.....

편안한 시간 되시기를......^^

------------------------------------------------------------

"정통침 치료 연구"의 모든 내용을 보시려면

Daum 검색창에서 "정통침 치료연구"를 검색해 보시거나,

아래 주소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http://blog.daum.net/57korea?t__nil_loginbox=blog_btn

------------------------------------------------------------

** 만일 이 이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받고싶지 않습니다.'라고

     쓰셔서 답신을 보내주십시오. 다음 회부터는 보내드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이 내용을 다른분에게 추천해 주시려면 그 분의 이메일 주소를

    보내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 이 이메일을 보내드리는 목적은, 어렵다고 포기하기 쉬운

    침구 치료의 근본인 '체침'(정통침)을 쉽게 이해하고,

    임상 활용에 도움을 드리고자 시작한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