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가주 녹십자 한방클리닉> 김두식입니다.
이번 회에서는
잡병혈법가(雜病穴法歌) 내용 중
소변 불통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원문 해석>
소변 불통(不通)에
음릉천과 삼리를 사하면
오줌이 쏟아진다.
----------------------------------------------------------------
오늘은 소변불통 치료입니다.
앞에서 설명했습니다만,
소변불통은 실증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침 치료는 어떠한 경우든
강하게 사(瀉)해야 합니다.
물론 만일 허증을 깔고 있다면
환자의 건강을 위해 나중에
꼭 보(補)하는 치료를 해야겠지요.
원문에서 보면,
음릉천(비9)과 족삼리(위36)를 쓴다고 합니다.
물론 여기서 주용혈(主用穴)은 음릉천입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을 경우 음릉천만 강자극해도
소변이 쭈르르르 나옵니다.
음릉천은 합수혈이며, 효능(效能)은
거습, 조습, 이뇨, 소체(疏滯)경락, 이하초(理下焦)하며,
황달 보조혈입니다.
치병(治病)은
복통, 복창, 수종, 황달, 설사, 소변불리, 유뇨,
요실금, 음부통, 슬통, 이질, 통경 등 입니다.
정리하면, 음릉천은
하초의 기를 돌리는 요혈(要穴)이며,
하초가 막혔을 때는 뚫어대고, 샐 때는 막습니다.
그러니까 보사 조절 혈위입니다.
그 다음에 족삼리입니다.
족삼리가 매우 좋은 혈위라는 것은 알지만
실증 소변불통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말은
듣지 못했던 것 같은데요.
확인 들어갑니다.
교과서에 나온 족삼리의 효능을 보면,
건비위, 조리기혈, 화위, 건비조습, 보기, 보음, 보혈, 안신,
활락지통, 보건강장, 명목, 산한, 승거양기, 거풍습, 소종, 조절영위 등등
치병은....
위통, 구토, 복창, 완곡불화, 장명, 설사, 변비, 이질, 유옹,
두훈, 전광, 각기, 슬경산통, 애역, 장옹, 수종, 해수, 기천,
허로이수, 감적, 중풍, 탄탄, 실면 등등
아무리 봐도 실증 소변불통에
사용한다는 말은 없네요.
머..... 만성에는 좋을 수는 있겠지만요. ㅡ.ㅡ
자.... 여기서 족삼리 취혈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잠깐 옆으로 샙니다.
대장경맥의 합곡(대4)은
반대편의 어제(폐10)를 함께 자극하여
폐경맥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외관(삼5)도 반대편의
내관(포6)을 자극하여
심포경맥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혈위들의 공통점은
침첨이 반대편에 있는 경락을
자극한다는 것이지요.
다시 본론으로 갑니다.
이제 눈치를 채셨는지 모르겠네요. ^^
족삼리도 이와 비슷합니다.
족삼리에 자침한 침첨은
경골 밑을 통해 음릉천을 향합니다.
그러니까 여기서 족삼리는
자신의 효능보다는
음릉천의 효능을 높이기 위한 선택이지요. ^^
음릉천에 족삼리를 더한 것이
소변불통 치료를 위해 기가막힌 선택이지만
족삼리의 효능만 알고서는
취혈 이유를 이해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알고보면 별로 어렵지 않은 이유에 대해
책에서는 전혀 설명을 안해 놓으니까
자꾸 어렵게 느껴지지요.
그리고는 이런 것을 대단한 비방이라 합니다. ㅋ
오늘은 여기까지.... ^^
------------------------------------------------------------
모든 미주한의원이 대박나는 그날까지.....
편안한 시간 되시기를......^^
------------------------------------------------------------
"정통침 치료 연구"의 모든 내용을 보시려면
Daum 검색창에서 "정통침 치료 연구"를 검색해 보시거나,
아래 주소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http://blog.daum.net/57korea?t__nil_loginbox=blog_btn
------------------------------------------------------------
** 만일 이 이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받고싶지 않습니다.'라고
쓰셔서 답신을 보내주십시오. 다음 회부터는 보내드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이 내용을 다른분에게 추천해 주시려면 그 분의 이메일 주소를
보내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 이 이메일을 보내드리는 목적은
침구 치료의 근본인 '체침'(정통침)을 쉽게 이해하고,
임상 활용에 도움을 드리고자 시작한 것입니다.
-----------------------------------------------------------------------
'정통침 치료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통침 치료 연구 (112) - 식적 (2) (0) | 2013.11.04 |
---|---|
정통침 치료 연구 (111) - 식적 (1) (0) | 2013.10.28 |
정통침 치료 연구 (109) - 소변 불통 (1) (0) | 2013.10.13 |
정통침 치료 연구 (108) - 열성 변비 (2) (0) | 2013.10.06 |
정통침 치료 연구 (107) - 열성 변비 (1) (0) | 201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