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가주 녹십자 한방클리닉> 김두식입니다.
이번에는 <잡병혈법가>의 내용에서 소개되는
<소문>의 '자학론' 중에서 '족소음'을 설명하겠습니다.
----------------------------------------------------------------
<원문 해석>
학질은 '소문(素問)'에
각 경락으로 나누어 치료하라 하였고,
위(危)씨는 손가락과 혀의 붉은 점에
자침하였다.
----------------------------------------------------------------
<소문>에서 족소음 학질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족소음 학질 환자는 구토를 심하게 하고
한열이 매우 심하나 열이 많고 한이 적으며
문과 창문을 닫고 있으려 하고
병의 치료가 어렵다.
---------
학질의 사기가 신(腎)까지 침입한 것으로
매우 위중한 상태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족소음 신경락은
임맥과 독맥을 교회(交會)할 뿐만 아니라
심(心), 간(肝), 폐(肺)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신(腎)이 병들었다는 것은
오장육부는 물론 심하면 뇌까지
영향을 준다고 봐야 하겠지요.
이제 원문 해설입니다.
- 구토를 심하게 하고.
앞에서,
족태음 학질에서도 구토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족소음에서도 구토를 심하게 합니다.
다만 여기서는
신정(腎精) 부족으로 인한 것이므로
헛구역질이 더 심할 것 같군요.
- 한열이 매우 심하나 열이 많고 한이 적으며.
병이 상당히 깊이 침투하였으니
한열이 상당히 심하겠지요.
특히 체내에서는 모든 힘을 다해
저항하게 되므로 대단한 열이 날겁니다.
-문과 창문을 닫고 있으려 하고.
이 뜻은 환자가
외부와의 접촉을 피한다는 것인데,
쉽게 말하면 병이 너무 위중하여
대화하기 힘들 정도로 지쳐서
드러누웠다는 의미겠지요.
-병의 치료가 어렵다.
여기서는 침을 놓는다는 말이 없고
그냥 병의 치료가 어렵다고 되어 있네요.
그러나 이를 해석한 각종 문헌에 보면
대종(신4)과 태계(신3)를 취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대종은 낙혈로서 만성병에 사용하며,
태계는 수토혈(水土穴)이며 원혈(原穴)로서
익신(益腎)하고 청허열(淸虛熱)하며
자음보신(滋陰補腎)합니다.
그런데.... 글쎄요..... ?
원문에 없는 내용을 굳이 추가하는 것보다
여기서는 내용 그대로 해석할까 합니다.
머... 결론은, 병이 너무 위중하므로
침을 놓아 봐야 별 효과가 없다는 의미겠지요?
다만 대종과 태계를 쓰라고 덧붙인 것은
이 두 혈위가 신정(腎精)을 회복하는
최고의 혈위라는 의미로서
병을 회복시키기 위한
최선의 혈위이기는 하겠네요.
여기서 임상 팁 한가지..... ^^
대종과 태계가 신정을 높이는 혈위라면
당연히 어린이 성장에도 매우 좋겠지요.
여기에 수혈(髓穴)인 현종(담39)을 더한다면
훌륭한 성장탕 혈위 조합이 되겠습니다.
학질 설명하다 성장탕으로 끝냈네요.... ^^
오늘은 여기까지.... ^^
------------------------------------------------------------
모든 미주한의원이 대박나는 그날까지.....
편안한 시간 되시기를......^^
------------------------------------------------------------
"정통침 치료 연구"의 모든 내용을 보시려면
Daum 검색창에서 "정통침 치료 연구"를 검색해 보시거나,
아래 주소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http://blog.daum.net/57korea?t__nil_loginbox=blog_btn
------------------------------------------------------------
** 만일 이 이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받고싶지 않습니다.'라고
쓰셔서 답신을 보내주십시오. 다음 회부터는 보내드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이 내용을 다른분에게 추천해 주시려면 그 분의 이메일 주소를
보내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 이 이메일을 보내드리는 목적은
침구 치료의 근본인 '체침'(정통침)을 쉽게 이해하고,
임상 활용에 도움을 드리고자 시작한 것입니다.
-----------------------------------------------------------------------'정통침 치료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통침 치료 연구 (68) - 학질(십선 금진옥액) (0) | 2012.12.31 |
---|---|
정통침 치료 연구 (67) - 학질(족궐음) (0) | 2012.12.31 |
정통침 치료 연구 (65) - 학질(족태음) (0) | 2012.12.10 |
정통침 치료 연구 (64) - 학질(족양명) (0) | 2012.12.05 |
정통침 치료 연구 (63) - 학질(족소양) (0) | 201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