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침 치료연구

정통침 치료 연구 (269 주차) - [분돈유현] 관원 수도 삼음교 관문 / 해저 귀래 관원 삼음교

둘이서여행 2016. 11. 10. 14:06


안녕하세요.

<가주녹십자 한방클리닉> 김두식입니다.

이번 주까지 <치증총요(治症總要)>에서

남자의 병증에 대해 설명합니다.

--------------------------------------------------------- 

<원문>

第九十 奔豚乳弦 關元 水道 三陰交 關門

(제구십 분돈유현 관원 수도 삼음교 관문)

問曰 此三症因何而得

(문왈 차삼증인하이득)

答曰 皆為酒色過度 腎水枯竭 房事不節

(답왈 개위주색과도 신수고갈 방사부절)

精氣無力 陽事不興 強而為之

(정기무력 양사불흥 강이위지)

精氣不能泄 外流入胞中 此症非一

(정기불능설 외유입포중 차증비일)

或腫如升 或偏墜疼痛 如雞子之狀

(혹종여승 혹편추동통 여계자지상)

按上腹中則作聲 此為乳弦疝氣也

(안상복중칙작성 차위유현산기야)

宜針後穴 海底 歸來 關元 三陰交

(의침후혈 해저 귀래 관원 삼음교)

---------------------------------------------------------

<해석>

아흔 번째, 분돈유현에는 관원 수도 삼음교 관문에 자침한다.

문 : 이 병증은 어떠한 이유에서 발병하는가?

답 : 지나친 음주와 성교로 인해 신수가 고갈되고

방사를 절제하지 못해 정기가 무력해져 발기가 되지 않거나

발기가 되어도 정기를 배출하지 못해

고환으로 흘러 들어가 이 병증이 생긴다.

이 병증은 여러 유형이 있는데 음경이 붓거나 - 종려승,

음경이 늘어지면서 통증이 있기도 하고 - 편추동통,

계란형으로 붓기도 하며 - 계자지상,

상복부 중앙을 누르면 소리가 나기도 하는데 이를 '유현산기'라 한다.

다음 경혈에 자침한다. 해저 귀래 관원 삼음교 

---------------------------------------------------------

<해설>

 

이번 주에도 남성 생식기 병증인 '분돈유현'입니다.

먼저, 낱말 뜻부터 알아봐야 할 것 같네요.

 

1. 분돈

신양허 혹은 한사로 인해 생식기가 붓는 병증을 말하고,

'하복부 적괴(덩어리)'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2. 유현

젖가슴 아래부터 배꼽까지 붓고 아픈 증상을 말하고,

생식기 병증이 위로 치솟아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므로 원문에서 '분돈유현'은

생식기 병증이 심해져 젖가슴 아래까지 치고 올라와

붓고 통증이 있는 경우, 즉 '분돈산기'와 '유현산기'를

통틀어 말하는 것 같습니다.

 

원문에서 '유현산기' 병증에서

상복부를 누르면 소리가 난다고 했는데,

아마도 한습 때문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원문에서, 분돈유현의 발병 원인은

지나친 음주와 정(精)의 소모라고 하면서,

병증의 종류를 세 가지로 구분했네요.

 

1. 앞 주에서 설명한, 음경이 붓는 '종려승',

2. 음경이 발기가 안되고 축 늘어지면서 통증이 있는 '편추동통',

3. 낭심이 계란처럼 둥글게 붓고 통증이 있는 '계자지상'

 

결론적으로 분돈유현은

신양허로 인한 한습으로 음경과 고환 등

생식기 내의 기혈순환 문제로 기능이 저하되면서

발병한 것이므로, 진단은 신양허로 인한 한습이네요.

 

그렇다면 치료는 거습(去濕)하면서

보신양(補腎陽) 보신정(補腎精)하면 되겠습니다.

 

여기에 더해,

생식기 주변의 혈과 진액 순환을 촉진시켜

붓기와 통증 완화가 무엇보다 급선무이겠지요.

 

그래서 처음 취혈은

관원[REN-4] 수도[ST-28] 삼음교[SP-6]

그리고 관문[ST22] 입니다.

각 경혈의 관련 효능을 보면,

 

관원은  보건의 요혈로서

자보음혈 강양(强陽) 배원기(倍元氣) 보신 효능이 있으므로

유정 유뇨 소복통 등 주로 생식기 병증에 취혈합니다.

 

수도는 통조수도(通調水道) 이뇨하므로

소복창만 수종(水腫) 산기(疝氣) 등에 취혈합니다.

 

삼음교는 이뇨 보혈 거습 자음 등의 효능이 있으므로

복창 장명 붕루 음부통 산기 유뇨 등에 취혈합니다.

 

관문은 복창 복통 수종에 취혈합니다.

 

이들 취혈을 정리하면,

거습은 수도 삼음교 관문이,

보신양 보신혈은 관원 삼음교가 담당하네요.

 

그런데 이 취혈의 문제는

지금 환자가 가장 힘들어하는 생식기 주변

치료 경혈이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관원 수도 관문 모두 배꼽 아래에 있으므로

생식기를 자극하여 병증 완화를 유도할 수도 있지만

그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지요.

 

그리서 다시 취혈하라 한 것이

해저[EX] 귀래[ST-29] 관원 삼음교 입니다.

 

해저는, 지난 266주차에서 설명했듯이,

경외기혈로서 음낭 바로 뒤쪽

옴폭 들어간 곳이 아닌가 생각되며,

음경 병증의 요혈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귀래는 주로 하초의 활혈거어 화어적하므로

복통 산기 통경 음정 등에 취혈합니다.

 

이 취혈의 포인트는,

해저 귀래로 음경과 낭심의 기혈을 촉진시켜

붓기와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입니다.

물론 관원 삼음교는 보신정음하여 기력 회복을 돕겠지요.

앞의 취혈보다는 그 효과가

보다 확실할 것이라는 믿음이 갑니다.

 

이번 회에서도 역시 특정 요혈의 활용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편안한 하루 되시기를...

------------------------------------------------------------

** 이 이메일을 보내드리는 목적은, 어렵다고 포기하기 쉬운

    침구 치료의 근본인 '체침'(정통침)을 쉽게 이해하고,

    임상 활용에 도움을 드리고자 시작한 것입니다.


** 만일 이 이메일 수신을 원하지 않으시면 '받고싶지 않습니다.'라고

     쓰셔서 답신을 보내주십시오. 다음 회부터는 보내드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이 내용을 다른분에게 추천해 주시려면 그 분의 이메일 주소를

    보내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